★ 정답은 문제가 끝나고 젤 마지막 부분에 있습니다.
직접 한번 풀어보시고 정답이랑 맞춰보시기 바래요~화이팅.
1. 다음에 해당하는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보기) "역전앞"과 마찬가지로 "피해를 당하다"에 도 의미의 중복이 나타난다.
"피해"의 "피"에 이미 "당하다"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.
① 형부터 먼저 해라.
② 채훈이는 오로지 빵만 좋아한다.
③ 발언자마다 각각 다른 주장을 편다.
④ 그는 예의가 바를 뿐더러 무척 부지런하다.
2. 다음 대화에서 밑줄 친 부분의 표현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?
① 자신과 상대방의 의견 차이를 최소화한다.
② 상대방에게 부담이 되는 표현을 최소화한다.
③ 화자 자신에게 혜택을 주는 표현을 최소하한다.
④ 상대방에 대한 비방을 최소화하고 칭찬을 최대화한다.
3.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현황과 문제 해결에 대한 글을 작성하고자 한다.
글의 내용으로 포함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국내 최대 게임 업체의 고객 개인 정보가 유출되어 청소년들에게 성인 광고 문자가
대량 발송된 사건을 예로 제시한다.
② 인터넷에 중독되는 청소년의 비율이 해마다 증가한다는 통계를 활용하여 해당 사안이 시급히
해결되어야 할 문제임을 강조한다.
③ 사회성 결여, 의사소통 장애, 집중력 저하 등 인터넷 중독이 야기할 수 있는 부정적 현상들을 열거하여
문제의 심각성을 환기한다.
④ 청소년 대상 인터넷 중독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해 할당된 예산이 부족하다는 전문가의
의견을 인용하여 해당 문제에 대한 대처가 미온적임을 지적한다.
4. 밑줄 친 단어의 쓰임이 옳은 것은?
① 하노라고 한 것이 이 모양이다.
② 물품 대금은 나중에 예치금에서 자동으로 결재된다.
③ 예산을 대충 걷잡아서 말하지 말고 잘 봅아 보세요.
④ 행운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것으로 치사를 가름합니다.
5. 다음 시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'샘'을 매개로 공동체의 삶을 표현했다.
② 과거 시제로 회상의 분위기를 표현했다.
③ 공감각적 이미지로 이웃 간의 배려를 표현했다.
④ 구어체로 이웃 간의 정감 어린 분위기를 표현했다.
6. 다음 글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
① 인간은 환경에 적응해 왔다.
② 삶의 기술은 생존을 위한 것이다.
③ 생명체는 환경을 능동적으로 변형한다.
④ 인간은 잘 사는 것을 삶의 목표로 한다.
7. 밑줄 친 부분의 활용형이 옳지 않은 것은?
① 집에 오면 그는 항상 사랑채에 머물었다.
② 나는 고향 집에 한 사나흘 머무르면서 쉴 생각이다.
③ 일에 서툰 것은 연습이 부족한 까닭이다.
④ 그는 외국어가 서투르므로 해외 출장을 꺼린다.
8. 다음에 서술된 A사의 상황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한 한자성어는?
9. 다음 글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?
① 복제본의 예술적 가치는 원본을 뛰어넘을 수 없다.
② 복제 기술 덕분에 예술의 매체적 특성이 비슷해졌다.
③ 복제본의 재현적 특질을 변형하는 방법은 제한적이다.
④ 복제본도 원본과는 다른 별개의 예술적 특성을 담보할 수 있다.
10. 밑줄 친 단어와 바꿔 쓸 수 있는 한자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?
12. 다음 글에서 의인화하고 있는 사물은?
① 대나무 ② 백옥
③ 엽전 ④ 종이
13. 다음 보도 기사별 마무리 표현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14.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양반들이 자신들을 조롱하는 말뚝이에게 야단쳤군.
② 샌님과 서방님이 부채와 장죽을 들고 춤을 추며 등장했군.
③ 말뚝이가 굿거리장단에 맞춰 양반을 풍장하는 사설을 늘어놓았군.
④ 도련님이 방정맞게 굴면서 샌님과 서방님의 얼굴을 부채로 때렸군.
15.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?
① 해도해도 너무한다.
② 빠른 시일 내 지원해 줄 것이다.
③ 이 그릇은 귀한 거라 손님 대접하는데나 쓴다.
④ 소비 절약을 호소하는 정공법 밖에 달리 도리는 없다.
16. 다음 글의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① 철길 때문에 도시가 남북으로 나뉘어 있다.
② 항만 북쪽에는 제분 공장이 있고, 철도 건너에는 저탄장이 있다.
③ 선로 주변에 아이들이 넘을 수 없는 철조망이 있다.
④ 석탄을 먹을거리와 바굴 수 있는 간이음식점이 있다.
17. 다음 밑줄 친 부분의 의미를 풀어 쓴 것으로 적절한 것은?
18. 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?
19. 다음 글을 통해 추론할 수 없는 것은?
① 사람에게는 자신의 신념이나 행동을 바꾸려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.
② 사람에게는 정보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지 못하는 심리적 특성이 있다.
③ 사람에게는 지지자들의 말만을 듣고 자기 신념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.
④ 사람에게는 새로운 정보를 접했을 때 심리적 불안을 느끼는 특성이 있다.
20. 밑줄 친 부분에서 행위의 주체가 같은 것으로만 묶은 것은?
정답입니다
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
댓글